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견례 부모님 옷차림 어떻게 입어야할까?

by 굿정보모아드림 2023. 4. 11.

목차

    728x90

    상견례는 신랑신부뿐만 아니라 양가의 부모님에게도 중요한 자리입니다. 그래서 신랑신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그 자리에 어울리는 부모님의 옷차림입니다. 오늘은 전체적인 코디보다는 상견례 부모님 옷차림과 옷 고르는 요령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상견례 부모님 옷차림

     

    신랑신부도 중요한 부분인데 특히 부모님이라면 때와 장소, 상황을 고려하여 부모님의 옷차림에 신경을 써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임 시간은 주로 저녁에 하기 때문에 추운 계절의 경우 아우터와 코디를 고민하는 것이 좋고, 좌식 레스토랑이라면 스커트보다는 팬츠를 코디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 무리한 옷보다 깔끔하고 편안한 옷을 입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상황이 격식을 차리기 때문에 부모님의 모임에 가장 깔끔하고 좋은 옷차림입니다.



    액세서리를 포인트로 주면 세련된 포인트를 줄 수 있지만, 너무 과하면 과시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부모는 알이 너무 두껍거나 보석이 큰 장신구보다는 심플한 장신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너무 많은 액세서리보다는 소수의 액세서리만 골라 포인트를 주면 더욱 스타일리시하고 깔끔한 코디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단정한 헤어스타일로 코디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빠들의 경우 그냥 머리를 손질하는 것보다 말려서 깔끔하게 스타일링을 해주면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꾸미지 않는 부모님들도 단정한 헤어스타일을 준비하고 모임에 참석한다면 좋은 첫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1) 어머니 옷
    봄, 가을, 겨울의 경우 니트 가디건, 원피스, 조끼(조끼)가 편하고 깔끔해 보입니다. 혹은 세미 포멀한 스타일도 깔끔하고 고급스러워 보입니다. 심플하고 내추럴한 주얼리를 함께 착용하기 좋습니다. 코디하기 좋은 진주 귀걸이나 반지도 좋습니다..

    2) 아버지 옷
    정장과 코디하기 좋습니다. 셔츠부터 넥타이까지 모든 것을 입을 필요는 없습니다. 캐주얼하면서도 예의를 갖춘 정장스타일이 좋습니다. 겨울의 경우 셔츠와 니트를 레이어드하면 단정하면서도 멋스러워 보입니다.

     

     

    상견례 대화 및 예절

     

    1) 민감한 주제 피하기
    자세한 가족사정, 학력, 정치, 직업, 질병, 이혼 등 가정문제 등. 결혼을 하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너무 직접적으로 서로의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민감하고 무거운 주제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지나친 자랑은 피하기
    가끔은 자식 자랑을 과하게 하는 부모들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적절한 칭찬은 괜찮지만 지나친 칭찬은 자랑으로 비쳐 어색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적당한 선에서 끝내고 서로의 사위나 며느리를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예물/예단 내용
    선물, 결혼 계획 등 다소 민감한 주제는 결혼식 전에 미리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면, 신랑신부님은 미팅 당일에 이야기하기보다는 상견례가 끝난 후에 서로의 의견을 의논하고 조율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단 예물이란, 알고 결혼준비하자!

    결혼은 준비 과정도 처음이라 어렵고 복잡하고 하나하나 결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 중 하나가 예단과 예물인데요. 요즘은 제외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전히 전통을

    ningu9.tistory.com

     

     

    기금e든든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연소득 얼마 이하여야할까?

    결혼을 준비하는 모든 예비 신혼부부님들에게 유익한 정보입니다. 아래 조건을 충족한다면 저금리인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연소득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

    ningu9.tistory.com


    4) 상견례 선물 준비하기
    간단한 선물을 준비하면 다소 무거운 분위기를 경쾌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서로 어떤 대화를 먼저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떡이나 꽃다발과 같은 간단한 선물을 준비한다면 서로 웃으며 원만한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호칭
    부모님들의 경우 서로 사돈, 사부인등의 호칭이 있습니다. 예비 신랑신부의 경우, 호칭을 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이 부분은 상견례 전에 조율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평소처럼 "야"나 "너"라고 말하면 격식을 갖추는 자리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6) 상견례 자리 배치
    약속 장소에 정시에 도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도착한 가족은 출구 쪽을 향하여 앉을 수 있습니다. 아버지가 가운데 자리에 앉는 것이 좋습니다. 그 후 어머니와 예비 신랑 신부가 양쪽에 앉습니다. 직계 가족이 있는 경우 형제나 자매의 맨 끝에 앉아야 합니다.


    상견례 주의할 점

     

    1) 상견례 비용

    비용을 누가 부담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보통 예비 신랑의 부모님이 계신 곳으로 신부의 부모님이 인사를 가시면 예비신랑 측에서 식사를 대접해 주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신랑 신부가 만나기 전에 비용 부담을 의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가 끝나기 전에 계산서를 슬그머니 가지고 나가서 선불로 계산하면 상견례가 끝나고 나올 때 당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장소는 꼭 이렇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니 서로 조율을 잘하셔야 할 것 같아요!

     

    2) 음주

    적당한 음주는 기분을 좋게 하지만 지나친 음주는 나중에 서로에게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급적 음주를 삼가하세요.

    3) 어린이 동반
    평소에는 귀여울 수 있지만, 조심스러운 곳에서 아이의 갑작스러운 행동은 당황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습니다. 상견례 때에는 조카들과 동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