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견례 자리에서는 혹시 실수하지나 않을까 한마디 한마디 조심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첫인사나 상견례에서의 인사나 대화 중 화기애애하게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상견례 덕담 예문을 준비했습니다.
상견례 덕담 10가지
1)
이렇게 만나 뵙게 되어 매우 반갑습니다.
000이 누굴 닮아 이렇게 인물이 좋나 했더니 안사돈(바깥사돈) 닮아서 외모가 출중했네요?
이렇게 자식을 잘 키우셔서 좋은 인연으로 만났을지 모르지만 제 딸(아들)이 보는 눈이 높았네요. (그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2)
이렇게 만나뵙게 돼서 기쁘고 반갑습니다. 먼 길 오시느라 고생 많으셨을 텐데, 교통이 불편하거나 어렵진 않으셨는지요?
저희 가족은 사돈댁을 만나기 위해 며칠간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렸습니다. 자, 앉으시지요. 궁금한 것도 많고 조언을 구하고 싶은 것도 많습니다.
3)
첫 만남이지만 오랜만의 만남처럼 느낌도 좋고 기분도 좋고 이렇게 뜻깊은 자리에서 뵙게 되어 정말 반갑습니다.
아이들의 인연을 통해 사돈댁 식구들과 이렇게 큰 인연이 되어서 너무 감사하고, 이렇게 사돈댁을 만나니 한결 마음이 놓입니다. 이제 아이들이 건강하고 예쁘게 잘살기만 하면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4)
이제 얼마 지나지않아 저도 며느리가 생긴다니 너무 기쁩니다. 집에 남자들만 있어서 늘 허전했는데 며느리가 들어온다고 생각하니 딸이 생긴 기분이 듭니다. 예쁜 딸 곱고 훌륭하게 키워주셔서 감사합니다.
5)
저희 집에서도 자식의 결혼은 첫 경사라 아직 준비가 미흡한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마음만큼은 너무 행복하고 기쁩니다. 딸(아들)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부모로서 더 즐거울 뿐이고, 이게 다 예비 사돈댁 식구들이 넓은 마음으로 결혼을 승낙해 주셨기 때문에 이 자리를 빌려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상견례 부모님 옷차림 어떻게 입어야할까?
상견례는 신랑신부뿐만 아니라 양가의 부모님에게도 중요한 자리입니다. 그래서 신랑신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그 자리에 어울리는 부모님의 옷차림입니다. 오늘은 전체적인 코디보다는
ningu9.tistory.com
상견례 대화법, 미리알고 주의하세요
두 가족의 부모님이 처음 만나는 중요하고 긴장되는 순간이 상견례입니다. 어떻게 하면 예의 바르고 어색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상견례 대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견례 대화법
ningu9.tistory.com
6)
저희가 가족의 입장때문에 부부가 함께 인사드리지 못한 점 사과드립니다. 그래도 우리 딸(아들)이 이렇게 많은 이해와 사랑으로 이 자리를 갖게 되어 너무 기쁘고 사돈댁 식구들에게 다시 한번 고마움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래도 제 딸(아들)은 나름대로 잘 성장해주었고 구김 없이 바른 아이니 예쁘게 봐주십시오. 항상 어르신들을 잘 섬기고 서로 사랑하리라 생각합니다.
7)
이렇게 좋은 가정을 만나 인연이되고 아름다운 시기에 결혼을 시킨다고 하니 너무 행복합니다. 아이들이 서로를 믿고 의지하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았고, 서로 사랑하고 존중하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놓였습니다.
분명 어려움과 위기가 닥칠 때도 있겠지만 지금의 마음으로 서로 의지하며 열심히 노력한다면 잘 이겨낼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또 저희도 부모로서 조언을 아끼지 않고 잘 살 수 있도록 도와주겠습니다.
8)
말씀만 듣고 이렇게 만나뵙게 되니 반갑습니다. 꽃피는 계절에 이렇게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어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합니다. 이렇게 상견례를 하고 사돈이라는 인연이 맺어지게 된다니 아이들 못지않게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화목한 식구들을 보니 행복한 가정을 만났다는 생각이 들어 어서 좋은 시간을 잡아 우리 아이들도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예쁜 손주들도 보았으면 하고 기대하니 많이 설렙니다.
9)
딸(아들)이 사위(며느리)에 비해 부족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지만, 오늘 보니 사돈댁 식구들이 부족한 부분을 너그러이 잘 이끌어주시리라 확신이 듭니다. 지금까지 지켜본 바로는 두 사람이 서로를 채워가며 잘 살아갈 것이라는 믿음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부모님들도 그늘이 되어 감싸주시고 이해해 주신다면 분명 훌륭한 가정을 꾸리고 잘 살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이렇게 훌륭하신 사돈댁을 만나게 된 것도 우리 아이의 복이라고 생각합니다.
10)
딸(아들)이 아무래도 아직 공부 중이다 보니 며느리(가장)로서 준비가 덜된 부분이 많이 있을 겁니다. 사돈댁 식구들에게 죄송하기도 하고 그래도 너그러운 아량으로 결혼을 허락해주신다니 감사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바르게 잘 자라왔고 좋은 며느리(사위)가 될 거라 믿으며 그때까지 지금처럼 사랑으로 잘 이끌어주길 부탁드리겠습니다. 저희 부부도 뒤에서 조언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청정기 놓는 위치 어디에 둬야할까? (1) | 2023.05.15 |
---|---|
미세먼지 매우나쁨 등산해도 괜찮을까? (0) | 2023.05.09 |
상견례 대화법, 미리알고 주의하세요 (0) | 2023.04.20 |
상견례 부모님 옷차림 어떻게 입어야할까? (0) | 2023.04.11 |
고지혈증 양파즙 어떤 관련이? 효능과 부작용은? (0) | 2023.03.30 |
댓글